신기한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 털뭉치놈 : 미국인 새앙토끼 (American pika) 작은 털뭉치인 새앙토끼 설치류처럼 보일 수 있지만 토끼목에 속하는 녀석이다. 대부분 시원한 날씨를 위해 높은 지역을 선호하며 닌자처럼 움직이고, 포식자가 나타나면 사이렌을 울리는 것이 특징이다. 새앙토끼는 취미로 여름에 식량을 비축하는데, 햇볕에 식물을 말려 곰팡이가 생기지 않게 하고 건초가 되면 굴 속에 보관하고, 비가오는 날엔 식물을 거둬서 비를 맞지 않게 한다. 이렇게 모은 건초더미는 약 27kg으로 저장했다가 겨울에 강된장이랑 비벼먹는다 IUCN 지정 최소 관심종이지만, 이미 고산에 사는 생물이며 생체 히터를 끌 수가 없어서 (신진대사가 빠름) 꼴랑 섭씨 25도 이상에서 30분만에 과열로 사망할 수 도 있으며 지구는 더워지지만 산의 높이가 한정되어.. 더보기 탑건 날버릭 : 날치 (Flying fish) 완전히 하늘을 나는 것은 아니지만 물에서 튀어 오른 후, 날다람쥐처럼 날개를 펴서 활공만 할 수 있으며 최장 200m까지 활공 할 수 있다. 날치는 해양 포식자(만새기)에게서 달아나기 위해 날개 지느러미가 발달 되었다고 하지만, 하늘로 나오면 밖에는 새(5세대 전투기)들이 기다리고 있다. 이젝션 이젝션 !! 날아오르기 위해서, 수면을 향해 1초에 50-70번 꼬리를 치고 (거의 진동일 듯..) 수면에서 튀어오르자마자 날개를 펴 활공을 시작해 자연계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써 최선을 다한다. 날치는 고기보다는 알이 식재료로 잘 알려져 있는데, 알밥이나 볶음밥, 김밥 등 식감이 야무져서 다양한 요리에 쓰인다. https://www.youtube.com/sho.. 더보기 목 뿌러질랑 말랑 ~ : 기린 (Giraffe)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키가 큰 육상동물인 기린 ! 목이 긴 만큼 요 ㅅㄲ들은 싸우는 것도 목으로 한다. 그리고 이 전투적인 목 싸움을 넥킹이라고 함 ㅎㅎ 넥킹(목싸움)은 암컷 기린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입니다 ! 수컷 기린은 높은 빈도로 동성에 행위를 하는데, 넥킹을 하다가 서로 흥분하여 키스하기도 하며 이성 커플보다 수컷끼리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한다고 한다. 현재 기린의 수는 지난 30년간 전체 수의 40%가 급감했고, 두 아종은 멸종 직전입니다 (Kordofan giraffe, Nubian giraffe) 기린은 누워서 잘 수 있고 서서도 잘 수 있으며 수면주기는 35분 이하로 밤, 낮 합쳐 하루 평균 4.6시간 을 잡니다. 기린은 혀는 4-50cm ㅗㅜㅑ 다 자란 기린은 .. 더보기 독재주의 : 미어캣 (Meerkat) 이렇게 귀여운 미어캣이 독재스타일일리가 없어 ㅠㅠ 이건 내가 원했던 미어캣의 모습이 아니야 ㅍ퓨ㅠㅠㅠ 미어캣은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작은 표유류로 뾰족한 주댕아리와 함께 긴다리, 큰눈, 두 발로 서서 주변을 살피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미어캣은 사교성이 뛰어나고 20-30마리가 무리지어 생활하며 이 안에서 계층이 나뉘어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무리에서 지배계급에 속하는 구성원들이 번식하며 자손을 낳고 번식하지 못하는 개체들(서열이 낮은)은 지배계급 개체들의 자손을 양육하는데 힘쓴다. 번식은 일년 365일 이루어지며 폭우가 내일 때 미어캣들의 성욕이 최고조를 달해 출산율이 급격히 높아진다. 돌이 많은 암석지대의 틈새와 평야에선 굴을 파서 땅 속 생활을 하며 주로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더보기 ㅈ기 : 모기 (mosquito) 전 세계 3600여종이 있으며 Mosquito 라는 이름은 스페인 어로 '작은 파리' 를 의미한다. 모기의 생활주기는 알, 유츙, 번데기, 성체로 구성되며 이 유충들은 아기 잠자리들이나 많은 물고기, 오리와 같은 일부 새들에게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의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종들의 암컷은 숙주의 피부를 칼질하여 단백질과 철분이 듬뿍 들어있는 혈액을 쪽쪽 빨아먹으며 이놈새끼가 빨아먹으면 그 부위에는 모기의 침이 숙주에게 전달되어 간지럼증을 동반한다. 예수님 물리쳐주세요 제발.. 상당히 기분이 나빠지고 신경쓰임. 이종 저 종 돌아다니면서 많은 피를 먹기 때문에 다양한 병원체들의 오작교 역할을 하는데, 말라리아, 사상충 같은 기생충성 질병이나 황열병,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의 질병에.. 더보기 양육 12일 컷 ㅋ : 하프물범 (Harp seal) 성체가 되면 등에 하프(악기)무늬가 생긴다고 해서 하프 물범이다. 얼음 위에 새끼를 낳아 새끼의 몸이 보호색인 흰색인데, 대부분 알고 있는 하프물범의 모습은 아기때 모습이다. 다 크면 요렇게 변한다. 새끼를 낳고 약 12일간 고지방 성분의 젖을 먹이며 자기가 살아온 인생 썰을 풀어준 후 (삶의 비법전수) 어미는 바다로 돌아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데, 새끼는 약 6주간 밥을 먹지 않고 몸의 양분을 태우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나갈지 이미지트레이닝을 한다. 귀여운 외모로 환경 보호 cf문의가 자주 들어오며 멸종 위기라고 알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가장 최근 조사인 2008년 결과는 최소관심종으로 인간, 모기와 같은 등급이다. 가장 큰 천적은 북극곰으로 알려져 있다. 멸종 위기종이 아닌 사실이 불법적인 사냥을.. 더보기 이세계 여행 티켓 : 푸른 갯민숭달팽이 (Glaucus atlanticus)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원양생물로 뒤집어진 채로 바다 표면에서 바람과 해류를 따라 움직인다. (위에 보이는 사진 또한 뒤집어진 모습이다.) 몸의 파란색 면이 위쪽을 향하고 배족의 모습은 은색빛을 띄는데, 이는 바다 위 포식자들에게는 푸른 빛으로 바다와 비슷한 색을 띄어 몸을 보호하고, 물 아래 포식자들에겐 바다를 내리 쬐는 태양빛과 혼동하게 하여 몸을 보호한다. 위 사진이 똑바로 서있는 모습이다. 맨오워 (man o' war)라는 독을 가진 해파리를 뜯어먹는데, 푸른 갯민숭이는 독에 면역이 있어서 괜찮지만 사람이 맨오워에게 쏘이면 죽을정도로 아프다고 한다. 또한 먹은 해파리의 독성을 저장하여 자신이 무기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로 인해 이 달팽이에게 쏘인다면 다른 세계로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기회가.. 더보기 2D로 즐기는 올빼미 : 가면올빼미 (Barn owl) Barn owl, 헛간 올빼미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는 올빼미 종이며, 극지방, 사막, 히말라야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 대부분 야행성이며 영국과 일부 태평양 지역에서는 낮에도 사냥을 한다. 땅에서 움직이는 동물을 전문으로 사냥하고 거의 모든 식단이 작은 포유동물로 이루어져 있다. 청각이 매우 예민하기 때문에 사냥을 할 때도 청각을 많이 활용하며 보통 짝을 이루면 그 한 쌍이 죽을때까지 함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식은 지역마다 다양한 시즌에 이루어지며 암컷이 알을 품고 수컷이 먹이를 구해다가 먹인다. 루시스틱 및 멜라니스틱의 헛간 올빼미는 100000분의 1의 확률로 나타날 수 있으며 모습이 일반 개체들과 확연하게 구분이 되기 때문에 태어난 직후 부모개체에게 버림을 받거나.. 더보기 이전 1 2 3 4 5 ··· 8 다음